top of page

출애굽기 22:6

출 22:6 불이 나서 가시나무에 댕겨 낟가리나 거두지 못한 곡식이나 밭을 태우면 불 놓은 자가 반드시 배상할지니라



화재 수습 조치에 대한 규례인데, 밭에 불을 놓다가 이웃의 밭에까지 손해를 끼쳤다면 불놓은 자가 배상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가시나무를 언급함이 흥미롭다. 보통 가시나무는 지역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크기가 십여미터가 넘는 경우도 많다. 가시로 인한 촘촘함 때문에 방풍림으로도 심지만 울타리용으로 쓸 때가 많다.


너와 나의 경계가 가시나무로 구분된다. 넘어오면 찔린다는 것이다. 혹은 찌르겠다는 의도도 배제할 수 없다. 사실 타인의 경계를 함부로 넘어가서는 안 된다. 적절한 선은 지켜져야 한다. 그런데 그선이 구분에서 그치지 않고 위협을 뿜어낸다면 삭막하다. 서울대 김난도 교수는 한 때 한국사회를 ‘날이 선 사회’로 규정한 바 있다. 이런 모습은 갈수록 더해지는 거 같다. 교회는 사회와는 달라야 한다.


하나님은 참된 신자가 가시나무가 아니라 성령의 열매를 맺는 생명나무처럼 되기를 바라신다. 신자의 삶은 세월이 갈수록 안팎으로 이렇게 달라져야 한다. 내게 나타나는 열매로 내가 어떤 나무인지가 드러난다. 아론의 지팡이에 맺힌 열매가 살구였다(민 17:8). 하나님은 죽은 나무에도 살구가 열리게 하시는 분이다. 가시가 아니라 열매가 있는 나무가 되어야 한다. 아가페가 답인데 나도 힘써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