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21:35

출 21:35 이 사람의 소가 저 사람의 소를 받아 죽이면 살아 있는 소를 팔아 그 값을 반으로 나누고 또한 죽은 것도 반으로 나누려니와



소가 소를 받았을 때 수습 원칙이 제시된다. 장차 들어가서 살게 될 가나안에서의 농경문화를 전제한 규례인데 모든 육축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고를 처리하는 모법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소의 충돌에 대한 이런 디테일을 지니고 계시다면 사람 간의 충돌에 대한 디테일은 더욱 분명하실 것이다. 사람마다 자기 입장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하나님의 관점일 터이다.


도가 지나쳐서는 안 되고 선을 넘어서면 안 된다. 하나님은 말씀과 양심을 기준으로 성령님을 통해 분별의 빛을 비추어주신다. 하나님은 당신의 자녀들이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딤전 1:5)으로 행하기를 원하신다. 세상이 어떻게 반응하든 이 길을 가야하지만 각자마다 그 마음에 죄성과 육신으로 손상된 부분이 있어 자기중심으로 행하기 쉬운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성경 말씀과 성령의 감화가 늘 우선이 되어야 한다. 요한 웨슬레는 ‘기독자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을 추구했다. 완벽주의가 아니라 늘 온전함을 추구하는 마음가짐이며 실천이었다. 실패할 때도, 실수할 때도 있겠지만 다시 털고 일어서서 다시 온전함을 추구하는 태도이다. 웨슬레는 기독자 완전의 상태가 순간순간 주를 의지하는 그리스도 중심의 생활에서만 유지되는 것임을 강조했다.

오늘도 순간순간 주를 의지해야 한다. 사실 가장 평안하고 담대해지는 길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