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13:5-6

출 13:5-6 여호와께서 너를 인도하여 가나안 사람과 헷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의 땅 곧 네게 주시려고 네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이르게 하시거든 너는 이 달에 이 예식을 지켜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고 일곱째 날에는 여호와께 절기를 지키라



출애굽은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이 430년 만에 성취된 사건이다. 이제 출애굽 현장에서 하나님은 가나안 땅의 정복을 선포하신다. 이 선포는 40년 뒤에 성취된다. 하나님의 약속은 이루어진다. 하나님의 말씀은 헛되이 돌아가는 법이 없다. 그런데 약속과 성취 사이에 시간의 간격이 있다. 그 간격을 메워가는 결정적 조건은 하나님에 대한 전적 신뢰의 정도에 좌우된다.


애굽에서 종살이하던 이스라엘은 결과적으로 모세의 출현을 기다린 것과 같다. 출애굽 후 광야 40년은 여호수아 세대의 출현을 기다린 것과 같다. 즉 하나님을 향한 전적 신뢰가 이끄는 상태가 구비되었을 때 출애굽도 가나안 정복도 이루어졌다. 하나님의 약속은 꼭 이루어지는데 그 시점은 신뢰의 상태에 좌우됨을 보여준다. 이 신뢰가 다듬어지는 과정에서 신자는 수많은 연단을 받는다.


주께서 주신 레마의 은혜가 있고, 성령을 통해 주신 예언과 비전들이 있다. 하나같이 성취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주를 향한 신뢰의 정도에 따라 현실화될 수도 있고 맛보기 정도에 그칠 수도 있다. 여호수아세대는 가나안에서 약속의 성취를 누렸고 모세세대는 메마른 광야에서 맛보기 수준에 그쳤다. 오늘의 약속은 모세세대가 들었지만 그 성취는 여호수아세대가 보았다.


주의 약속이 성취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이유가 있다. 여쭤보면 깨닫게 하신다. 자각이 되면 답이 나오고 출구가 보인다. 일상에서 최대한 모세와 여호수아를 닮아가는게 축복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