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애굽기 7:17-18

출 7:17-18 여호와가 이같이 이르노니 네가 이로 말미암아 나를 여호와인 줄 알리라 볼지어다 내가 내 손의 지팡이로 나일 강을 치면 그것이 피로 변하고 나일 강의 고기가 죽고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리니 애굽 사람들이 그 강 물 마시기를 싫어하리라 하라



나일 강은 총길이 약 6,700km 정도로 적도 부근의 탄자니아 국경 부근에서 발원하여 이집트를 지나 지중해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국제하천’이다. 나일은 이집트, 곧 애굽의 생명줄이고 의지처였다. 나일 강을 수호하는 우상 소베크는 비옥과 권위를 관장하며 세계의 질서를 창조한 우상으로 섬겨졌다.


처음 재앙이 나일을 강타한 것은 애굽의 생명줄을 친 것과 같다. 소베크 우상은 초라해진다. 무엇이 삶의 근원이며 누가 진정한 예배의 대상인지가 드러난다. 그간에는 바로조차도 하나님의 긍휼 가운데 살아왔음이 드러난다. 하나님을 알지 못해도 세계를 지탱하시는 은총이 모두에게 베풀어져 왔던 것이다. 마치 햇빛이 선인에게만이 아니라 악인에게도 같이 비춰지는 것과 같다.


범사에 감사해야 하는 이유가 분명히 드러난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는데 대한 대가를 꼬박꼬박 치룬다면 삶의 바탕은 피로 가득한 나일과 같았을 것이다. 지금 하나님 쪽으로 돌이킬 수 있을 때 돌이켜야 한다. 모세와 바로의 관계는 말씀과 나와의 관계를 유비한다. 모세의 말이 떨어졌을 때 들어야 한다.


모세의 말을 알지 못했을 때 누린 것들은 모두 은혜다. 모세의 말은 그 은혜를 주신 분에게 다가가게 한다. 바로에게 모세가 다가가듯 각자에게 말씀이 다가 올 때가 있다. 한 걸음이라도 돌이켜야 한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