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마태복음 25:40

마 25:40 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하시고

마 25:45 이에 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하지 아니한 것이 곧 내게 하지 아니한 것이니라 하시리니



종말론 강화에서의 대부부의 강조점은 각성과 준비에 있었다. 오늘 대목에서는 ‘행하지 않음’의 치명성에 대해 경계하신다. 본문을 놓고 행함에 의한 구원을 말하는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치열했다. 그러나 구원의 방편으로서의 행함을 말하는 게 아니라 구원받은 증거로서의 행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리됐다. 즉 구원을 얻은 자는 ‘지극히 작은 자’에게도 사랑을 실천한다는 뜻이다.


지극히 작은 자는 형제라 불리운다. 복음서에서 형제라 불리우는 사람들은 주님을 따르는 이들을 의미한다. 마 12:50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자매요 어머니이니라 하시더라’ 본문의 일차적 대상은 어려움을 겪는 믿는 이들을 말한다. 그 어려움은 믿음으로 인한 어려움을 포함하는 데 교회가 역사적으로 받은 핍박의 상황을 감안하면 성도간에 필요한 덕목이다.


이차적으로는 주변에 존재하는 어려운 이들을 포함한다. 교회가 사회 구제에도 앞장 서는 이유다. 중요한 건 ‘행하지 않음’에 대한 각성이다. 저지르지 말아야 할 죄도 있지만 행함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태만도 죄가 된다. 그것을 ‘부작위의 죄’(the sins of omission)라 한다. 어려운 이를 돕는 사명의 폭은 넓다. 감당할 수 있는 부분서부터 역량 껏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원받은 자가 해야 할 일이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