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니엘 4:25

단 4:25 왕이 사람에게서 쫓겨나서 들짐승과 함께 살며 소처럼 풀을 먹으며 하늘 이슬에 젖을 것이요 이와 같이 일곱 때를 지낼 것이라 그 때에 지극히 높으신 이가 사람의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줄을 아시리이다

다니엘이 느부갓네살의 흉몽을 해석한다. 대제국의 왕이 들짐승과 함께 하며 소처럼 풀을 먹는 상태는 일종의 정신질환을 암시한다. 다니엘은 목숨을 내놓고 해석과 처방을 제시한다. 바벨론의 입장에서 보면 왕은 함무라비 이후 명군으로서 바벨론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사람이다.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 ‘나부코’는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으로도 유명한데 그 나부코가 바로 느부갓네살이다.

그러나 그도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존재다. 그 진리를 모르는 것이 교만인데, 그 대가를 치루는 꿈을 꾼 것이다. 28절 이하를 보면 느부갓네살이 어느 정도는 이 꿈처럼 지낸 것으로 본다. 그 과정에서 그는 누가 진정한 주권자인지를 깨닫게 된다. 다니엘의 해석이 없었다면 한 때의 흉흉한 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해석으로 인해 느부갓네살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섭리 하에 있음을 깨닫는다.

그나마 느부갓네살은 다니엘 덕분에 세계관의 변화를 가지지만 대부분 비신자들은 진리를 모른 까닭에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 무지하다. 그 무지는 하나님의 위엄에 대한 무시와 하나님의 법에 대한 손상을 가져오고 그 과정에서 들짐승처럼 사는 대가를 치룬다. 생활환경이 좋아지는 데 비해 살기가 더 퍽퍽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극히 높으신 이의 다스림’이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겸허한 심령으로 감사하며 찬양하며 그 다스림에 순복해야 한다. 오늘도 나는 그 분의 주되심을 드러낼 것이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