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니엘 4:25

단 4:25 왕이 사람에게서 쫓겨나서 들짐승과 함께 살며 소처럼 풀을 먹으며 하늘 이슬에 젖을 것이요 이와 같이 일곱 때를 지낼 것이라 그 때에 지극히 높으신 이가 사람의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줄을 아시리이다

다니엘이 느부갓네살의 흉몽을 해석한다. 대제국의 왕이 들짐승과 함께 하며 소처럼 풀을 먹는 상태는 일종의 정신질환을 암시한다. 다니엘은 목숨을 내놓고 해석과 처방을 제시한다. 바벨론의 입장에서 보면 왕은 함무라비 이후 명군으로서 바벨론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사람이다.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 ‘나부코’는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으로도 유명한데 그 나부코가 바로 느부갓네살이다.

그러나 그도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존재다. 그 진리를 모르는 것이 교만인데, 그 대가를 치루는 꿈을 꾼 것이다. 28절 이하를 보면 느부갓네살이 어느 정도는 이 꿈처럼 지낸 것으로 본다. 그 과정에서 그는 누가 진정한 주권자인지를 깨닫게 된다. 다니엘의 해석이 없었다면 한 때의 흉흉한 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해석으로 인해 느부갓네살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섭리 하에 있음을 깨닫는다.

그나마 느부갓네살은 다니엘 덕분에 세계관의 변화를 가지지만 대부분 비신자들은 진리를 모른 까닭에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 무지하다. 그 무지는 하나님의 위엄에 대한 무시와 하나님의 법에 대한 손상을 가져오고 그 과정에서 들짐승처럼 사는 대가를 치룬다. 생활환경이 좋아지는 데 비해 살기가 더 퍽퍽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극히 높으신 이의 다스림’이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겸허한 심령으로 감사하며 찬양하며 그 다스림에 순복해야 한다. 오늘도 나는 그 분의 주되심을 드러낼 것이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