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50:29

렘 50:29 활 쏘는 자를 바벨론에 소집하라 활을 당기는 자여 그 사면으로 진을 쳐서 피하는 자가 없게 하라 그가 일한 대로 갚고 그가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라 그가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 여호와를 향하여 교만하였음이라

지난 주일 신앙여정에서 애통함이 지니는 복을 나눈 적이 있다. 애통함은 연약함과 무력감을 통감한데서 오는 겸허의 감정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절감하는 그 바닥이 주님의 품으로 차고 올라가는 발판이 되는 역설적 은혜다. 우울감이 들 정도의 부담스런 무게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의 애통한 마음을 지속적으로 지니는 것도 유익이다. 바울이 고백한 바, 약한 그 때가 곧 강함이기 때문이다.

바벨론의 문제는 교만이었다. 세상 기준에선 그럴만도 했다. 대단한 위세를 가진 나라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나님은 불쾌했다. 그들의 교만과 자신감이 하늘을 찔렀기 때문이다. 자기네 신과 자기네 힘을 당할 자가 누구랴 하면서 목에 힘을 주었다. 교만을 담은 쓰레기통이 가득 찼을 때 하나님은 그 통을 뒤집어 엎으신다. 논고는 분명하다.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를 무시한 죄목이다.

신자들은 대체적으로 성령체험을 하기 전까지는 주님에 대해 인격적 존중을 하지 못한다. 주님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 지식의 차원에만 머물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면 보이지 않는 주님보다 보이는 세상이 더 가까이 다가온다. 세상성에 쉽게 빠지는 이유이다. 히브리서 기자는 모세를 ‘보이지 아니하는 자를 보는 것 같이’ 대했다고 전한다(히 11:27). 믿음은 그렇게 시작되고 유지된다. 오늘도 성령 안에서 그런 영적 지각이 새로워지기를 간구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