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40:9

렘 40:9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가 그들과 그들의 사람들에게 맹세하며 이르되 너희는 갈대아 사람을 섬기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이 땅에 살면서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유익하리라

바벨론은 전쟁이 끝나자 그다랴를 총독으로 세워 위임통치를 시작한다. 주변에 사람이 모여들기 시작하자 그는 친바벨론 정책을 공표한다. 우상을 숭배한 까닭, 이방나라를 의지한 까닭에 유다는 우상을 숭배하는 이방나라의 피식민지가 된다. 바울이 말한 것처럼 사람은 자기가 순종하는 대상의 종이 되는 것이다(롬 6:16). 나를 현실적으로 지배하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실질적으로 더 의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상태가 되면 그 다음의 과제는 그나마 더 나은 쪽이 어디인가가 된다. 유다의 경우 바벨론이냐 애굽이냐의 문제였는데 망국 이후에도 이런 시소는 계속된다. 하나님의 뜻은 명백했다. 바벨론의 왕을 섬기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구도에는 애굽이 없다. 느부갓네살의 꿈에 대한 다니엘의 해석에도 애굽은 빠져 있다. 애굽은 돌아보지 말아야 할 세상의 전형이다. 바벨론의 매를 맞아도 애굽은 기웃거리지 않아야 했다.

가장 좋은 것은 다윗시대처럼 강력한 주권을 행사하는 독립국가이다. 유대인들은 이 때부터 다윗의 후손으로 와서 황금시대를 이루어줄 메시야를 대망한다. 신자에겐 황금시대보다 더 좋은 시대가 예비되어 있다. 또한 각자의 영성에 따라 누릴 수 있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임했다. 세상은 악한 자 안에 처해있어도 개인은 하나님 나라를 살며 하나님 나라를 풀어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나는 내 안에 임한 하나님 나라를 살고 있는가. 가정이나 직장, 제반 환경에서 하나님 나라 소속임이 증명되는가. 내 안의 하나님 나라를 풀어내려면 나에겐 무엇이 필요한가. 정말 나는 현재의 세상매트릭스에서 그런 삶을 동경하는가. 다니엘처럼 확정된 마음을 간절히 구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