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40:1

렘 40:1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예루살렘과 유다의 포로를 바벨론으로 옮기는 중에 예레미야도 잡혀 사슬로 결박되어 가다가 라마에서 풀려난 후에 말씀이 여호와께로부터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나라가 망하고 성전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포로로 잡혀가는 상황에서도 여호와의 말씀은 전해진다. 어떤 상황도 하나님의 이끄심이 필요없는 때는 없기 때문이다. 혼란스러울수록 그렇다. 그러니 심란할수록 말씀을 구해야 한다. 안그러면 엎친 데 덮치는 어려움을 자초하기 쉽다. 하나님은 그 와중에도 예레미야를 남겨두신다. 그는 듣는 귀를 가진 자다. 어떤 상황에도 길을 이끄신다는 뜻이다.

하나님의 사랑은 깊고 하나님의 열심은 식지 않는다. 환경을 가리시지 않고 돌아와야 하는 길, 가야하는 길을 제시하신다. 듣고자 하는 마음과 듣는 귀를 가진 사람이 주변에 있어야 한다. 들을 수 있는 누군가가 여호와 말씀을 전하며 다독여야 한다. 소그룹과 교회가 서로에게 필요한 이유이다. 그보다 내가 들을 수 있어야 하고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들음을 꼭 초자연적이고 신비한 체험으로 국한시키지 말자.

묵상하고 일독하면서, 깨달음을 나누면서도 얼마든지 들을 수 있다. 헷갈리지 않게 흰 종이 위에 까만 글자로 인쇄까지 해놓으셨다. 토스토엡스키는 시베리아 유형중에 접한 말씀이 그를 위대한 작가로 변화되게 했다. 나라가 망하고 성전이 무너지는 일이 있어도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 길이 있다. 이 은혜가 얼마나 감사한가. 때로 육신이 고집피우는 일이 있지만 최소한 더 엇나가지는 않는다. 난 또 말씀 앞에 선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