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37:2-3

렘 37:2-3 그와 그의 신하와 그의 땅 백성이 여호와께서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하신 말씀을 듣지 아니하니라 시드기야 왕이 셀레먀의 아들 여후갈과 마아세야의 아들 제사장 스바냐를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보내 청하되 너는 우리를 위하여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라 하였으니

시드기야는 남유다의 마지막 왕이 된다. 그가 여호와의 말씀을 들었다면 유다는 잔존했을까. 잔존했으리라 믿는다. 물론 대대적 각성이 필요한 일이다. 선지자의 존재는 희망의 불씨이다. 선지자의 대언은 여전히 회복의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드기야는 말씀을 듣지 않음으로 기회를 걷어찬다. 그 과정에서 그는 이중성을 보인다. 청종은 하지 않으면서 자기를 위해 기도해 달라 한다.

사람의 자기중심성은 이렇게 끈질기다. 하나님이 원하는 걸 알면서도 그 길로 돌아가는 게 어렵다. 다시 돌아가기에는 너무 벗어나 버렸고 시드기야 이전부터 힘을 받아 온 죄업의 물결 역시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다. 유다의 종말은 계시록의 종말을 연상케 한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도움은 기대한다. 여전히 돌이키지는 않는다. 그러면서 서서히 종말적 심판의 길을 향한다.

막판까지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요나의 메시지를 듣고 금식하며 회개한 니느웨를 생각하면 그렇다. 니느웨가 어떤 곳인가. 죄를 밥먹듯 저지르는 전형적 비신자의 상징이다. 그런 니느웨도 말씀을 듣고 회개하니 심판을 거두셨다. 시드기야는 자신을 위하여 기도하라기보다 하나님의 영광의 회복을 위하여 기도하라고 해야 했다. 일상에서 작은 각성들이 있게 해야 한다. 그 각성들이 모이면 대각성이 되는 것이다. 오늘도 육신의 관성, 죄의 관성, 세상물결의 관성을 거부하며 각성의 면적을 넓혀야 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잠 1:23 나의 책망을 듣고 돌이키라 보라 내가 나의 영을 너희에게 부어 주며 내 말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저자는 지혜를 의인화한다. 지혜의 근원이 인격적인 하나님의 배려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서 그렇지 기실 하나님께서 알게 하시고 보게하시고 느끼게 하시는 데서 오는 은총이다. 본문에서 ‘나의 영을 부어준다’는 의미다. 솔로몬은

히 13:18-19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우리가 모든 일에 선하게 행하려 하므로 우리에게 선한 양심이 있는 줄을 확신하노니 내가 더 속히 너희에게 돌아가기 위하여 너희가 기도하기를 더욱 원하노라 모든 일에 선하게 하려는 것은 예수님 은혜 안에서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이 가능하다. 이 동력을 성령의 감화라 한다. 주 안에서 행하는 모든 것에 기도가 필요한

히 13:1-2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아브라함이 접대한 나그네는 천사들이었다(창 18장). 만약 아브라함이 그들을 냉대했다면 그 뒤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우선 이삭의 출생에 대한 예언부터 듣지 못했을 것이다. 생면부지의 나그네를 극진히 접대한 것은 형제 사랑에서 우러난 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