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36:23-24

렘 36:23-24 여후디가 서너 쪽을 낭독하면 왕이 칼로 그것을 연하여 베어 화로 불에 던져서 두루마리를 모두 태웠더라 왕과 그의 신하들이 이 모든 말을 듣고도 두려워하거나 자기들의 옷을 찢지 아니하였고

여호야김은 선지자가 전한 말씀을 거부한다. 말씀이 적힌 두루마리를 칼로 베어 불에 태웠다. 정작 칼로 베어야 할 것은 죄의 사슬이었고 태워야 할 것은 자신의 죄성이었다. 그들이 찢어야 할 것은 자기들의 옷이었지 두루마리가 아니었다. 죄성과 죄업이 지은 내면의 견고한 진은 이런 식으로 작동한다. 바울은 사람 안에 내재한 이런 성향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들이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하매... ‘(롬 1:28)

문제는 이들이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들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신앙의 전승과 성전의 제사를 알았고 하나님을 의지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이 지닌 건 신실한 신앙이 아니라 이기적 종교성이었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형식에 불과했고 그 동기는 기복이었다. 바알을 섬긴 동기와 같은 수준이었다. 그들은 가라지였다. 신앙이 종교성이나 다급한 현실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충분히 그럴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거기에 머물지 않고 각성과 회개를 통해 신실한 관계를 이루게 하신다.

내가 바른 코스를 가고 있는가를 알게 하는 것이 말씀에 대한 반응이다. 각성과 회개로 반응하며 변화에 힘쓴다면 구원열차를 탄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 내면은 죄성의 견고한 진이 아니라 성령의 전이 되어야 한다. 내 안에 타오르는 불은 어떤 불인가. 성령의 불인가, 아니면 혈기에서 오는 불인가. 내가 찢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육성의 옷인가, 아니면 각성의 메시지인가. 오늘도 말씀을 챙기면서 마음의 반응을 살핀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