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32:42

렘 32:42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내가 이 백성에게 이 큰 재앙을 내린 것 같이 허락한 모든 복을 그들에게 내리리라

하나님은 재앙도 내리시지만 복도 내리신다. 물론 우리의 선택에 따른 결과다. 죄의 길을 선택했기에 재앙이 닥친 것이며 회개함으로 의의 길로 돌아왔기에 복을 누리는 것이다. 재앙은 즉각적으로 닥치지 않는다. 선지자들을 통해 회개를 촉구하시며 돌이킬 수 있는 기회를 주셨다. 죄가 있어도 기회를 주셨을 때 회개했다면 재앙의 지경까지 안 가게 하셨을 것이다.

우리는 서로 간 죄의 연대 책임을 진다. 즉 내가 죄가 없어도 죄를 지은 다른 이들로 인해 어느 정도의 고통을 걸머지는 것이다. 아담의 죄로 우리가 고생하는 것이나, 예레미야 당시 장년들의 죄로 인한 재앙으로 자녀들이 고통을 받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럼에도 각자가 남은 자의 영성, 즉 세상에 영합하지 않고 순전한 영성으로 신앙의 절개를 지키면 하나님께서 개별적으로 챙겨주신다.

다니엘과 에스더, 느헤미야가 그랬다. 그러다가 민족적인 회개가 일어나면 본문처럼 축복이 다시 흐르는 은혜가 임한다. 재앙에서 축복으로 전환하게 하는 것이 회개다. 코로나 이후가 복이 되게 하려면 코로나 때에 회개의 길을 가야 한다. 소소한 뉘우침이 아니라 살아계신 하나님과 조우(encounter)하는 은총을 구하며 십자가 영성에 터잡은 가치관과 세계관의 변환이 일어나게 해야 한다. 은정 공동체가 그렇게 변화되어 사도적 행전을 이어가게 되기를 소망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