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31:16~17

렘 31:16-17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네 울음 소리와 네 눈물을 멈추어라 네 일에 삯을 받을 것인즉 그들이 그의 대적의 땅에서 돌아오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너의 장래에 소망이 있을 것이라 너의 자녀가 자기들의 지경으로 돌아오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죄의 길에 들었던 영혼이 정화의 과정을 거치며 의의 길로 돌아오자 대적의 땅에서 풀려나게 하신다. 그 해방은 다음 세대의 회복까지 이어진다. 절망은 소망으로 바뀌고 포로 신세는 자유자가 된다. 남은 자(remnant)에게 주어지는 은총이다. 나라의 멸망과 포로된 고통을 겪으며 우상숭배의 대가가 무엇인지를 절감한 유다는 이 때부터 철저하게 우상을 멀리한다.

신앙여정에서 울음 소리가 날 때가 있다. 목청에서 날 때도 있고 마음에서 날 때도 있다. 처음에는 아파서 울지만 나중에는 뉘우침으로 울게 된다. 그런 점에서 우는 것은 치유다. 돌이킴이 없다면 울지도 않는다. 울며 여호와께로 돌아가면 삶의 지경 또한 달라진다. 지금 내가 머물고 있는 곳이 대적의 땅인지, 은혜의 자리인지 분별이 필요하다. 대적의 땅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정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택하실 때 제사장으로 부르셨지 부자나 권세자로 부르시지 않았다. 부르심에 합당할 때 다윗의 때처럼 부수적으로 부와 권세가 따르게 하셨지만 우선적 소임은 열방에 대한 제사장이었다. 신자를 향한 부르심도 동일하다. 세상은 변화시켜야 할 땅이지 동화되는 곳이 아니다. 내가 고수해야 할 나의 지경이 있다. 하나님 나라이며 복음의 길이다. 내 마음과 걸음이 그 길을 타게 해야 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