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12:17,21

롬 12:17 아무에게도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

롬 12:21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우리는 악에 받친 시대를 살고 있다. 사회학자 김난도교수는 한국사회를 잔뜩 ‘날이 선 사회’로 규정한 바 있다. 분노가 이글거리며 증오와 불평이 기승을 부린다. 조금만 자존심이 상해도 마음이 부대껴 잠을 못이루면서 또 타인에겐 서슴없이 입총을 쏘아대는 고슴도치같은 관계가 수두룩하다. 성경은 분명히 선을 긋는다. 악을 행하지 않을 뿐 아니라 악이 도발해 올 때도 선을 행하라 한다.

사랑이시며 만유의 주재가 되시는 하나님이 여전히 세상을 다스리시기 때문이다. 나는 여전히 그 하나님에게 내가 당신에게 속한 당신의 자녀임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나무는 열매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누군가 나에게 악을 행할 때 그것을 견뎌내기 쉽지않다. 더우기 선으로 대한다는 것은 더 어렵다. 하나님은 성령의 감화가 아니면 안되는 일을 요청하시고 있다.

교회를 다니면서도 얼마든지 세상논리로 행할 수 있다. 성령이 아니라 육성으로 살고 말씀보다 상식을 기준으로 사는 모순도 여전하다. 사실에서 진리가 아니라 견해로 빠져버린 것이다. 그 역시 믿음으로 사는 것은 아니다. 신자의 삶은 성령의 감화와 성령의 인도를 받는 삶이다. 그러면 예수를 닮아감이 가능하다. 예수를 닮아가면 예수의 나타남도 가능해진다. 우리 은정은 그 길을 가고 있다. 시간이 들어도 그 길을 가야 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