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9:18

롬 9:18 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완악하게 하시느니라

하나님의 예정이나 주권은 하나님의 영역이다. 그 영역에 대해 신학적 해석을 하려 하지만 실상은 대양의 물을 컵 하나에 담으려는 것과 같다. 사람에게 일어난 현상을 추정하는 것으로 어찌 깊고 부요한 하나님의 지혜와 섭리를 온전히 알겠는가. 이사야가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의 영광을 접했을 때 그가 즉각적으로 깨달은 것은 다른 누구보다도 자기가 망할 존재였다는 사실이다. 우리에겐 긍휼이 필요하다.

하나님께서 누굴 긍휼히 여기시고 누굴 완악하게 하시는지 사람이 어찌 정확히 분별할 수 있는가. 회심 이전의 바울을 본 사람은 그가 필시 완악한 그룹에 속한다고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곧 긍휼그룹에 속하게 된다. 데마가 바울과 동역했을 때 누가 그를 완악하다고 하겠는가. 그러나 그는 결국 바울을 버리고 세상으로 돌아갔다. 언제, 어디서, 그 내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는 하나님만이 아신다.

심지어 선택받은 사람들만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교회 안에도 알곡과 가라지가 함께 존재한다. 이런 현실에서 하나님의 택하심에 대한 최소한의 실마리가 있다면 ‘하나님의 긍휼을 바라는 간절함’일 것이다. 의에 대한 자신감이나 기복적 성향이 아니라 애통함과 가난한 심령과 같은 팔복의 마음이 긍휼 그룹의 표식일 수 있다는 것이다. 팔복은 천국시민권자의 영성이다. 팔복의 영성에서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오늘도 나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주시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