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9:18

롬 9:18 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완악하게 하시느니라

하나님의 예정이나 주권은 하나님의 영역이다. 그 영역에 대해 신학적 해석을 하려 하지만 실상은 대양의 물을 컵 하나에 담으려는 것과 같다. 사람에게 일어난 현상을 추정하는 것으로 어찌 깊고 부요한 하나님의 지혜와 섭리를 온전히 알겠는가. 이사야가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의 영광을 접했을 때 그가 즉각적으로 깨달은 것은 다른 누구보다도 자기가 망할 존재였다는 사실이다. 우리에겐 긍휼이 필요하다.

하나님께서 누굴 긍휼히 여기시고 누굴 완악하게 하시는지 사람이 어찌 정확히 분별할 수 있는가. 회심 이전의 바울을 본 사람은 그가 필시 완악한 그룹에 속한다고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곧 긍휼그룹에 속하게 된다. 데마가 바울과 동역했을 때 누가 그를 완악하다고 하겠는가. 그러나 그는 결국 바울을 버리고 세상으로 돌아갔다. 언제, 어디서, 그 내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는 하나님만이 아신다.

심지어 선택받은 사람들만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교회 안에도 알곡과 가라지가 함께 존재한다. 이런 현실에서 하나님의 택하심에 대한 최소한의 실마리가 있다면 ‘하나님의 긍휼을 바라는 간절함’일 것이다. 의에 대한 자신감이나 기복적 성향이 아니라 애통함과 가난한 심령과 같은 팔복의 마음이 긍휼 그룹의 표식일 수 있다는 것이다. 팔복은 천국시민권자의 영성이다. 팔복의 영성에서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오늘도 나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주시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