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8:38-39

롬 8:38-39 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 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율법주의자였고 핍박자였던 바울이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이처럼 심원한 공감을 가졌다는 것은 놀라운 변화다. 율법의 엄중함을 아는 바리새인으로서 하나님에 대한 사랑보다는 심판에 대한 두려움에 더 익숙한 사람이었다. 전환점은 십자가였다. 십자가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을 보며 토라의 쉐마 구절, 즉 마음과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말씀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

십자가는 하나님의 공의와 하나님의 사랑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오메가 포인트이다. 죄인된 모든 사람을 위한 은총이지만 실상은 그중 선택이 예정된 영혼들에게 베풀어지는 개별적인 은총이다. 십자가는 한 영혼, 한 영혼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손짓이며 회복에로의 부르심이다. 내가 십자가를 알고 붙듦은 사랑받은 결과이다. 아들까지 내어준 그 사랑의 깊이는 창조주의 깊이여서 그 어떤 피조물도 뒤집거나 손상시킬 수 없다.

십자가는 메시지다. 어떤 경우에도 너를 사랑할 것이며 너를 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다. 이미 나의 어떠함을 영원 전부터 헤아리신 하나님의 결정이기 때문이다. 십자가는 나에게 끊임없이 발현되는 사랑의 고백이며 사랑의 편지이다. 돌이켜보면 그간의 신앙여정에서 세속적가치관의 그늘이 거두어질수록 십자가는 더 가까이 다가왔다. 어느 시기까지는 구조받음을 깨닫는 수준에 머물다가 어느 시기부터는 사랑의 울림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 어떤 것도 십자가를 통해 맺어진 나와 하나님의 사랑의 끈을 끊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 소중한 사랑을 마음에 품으며 오늘도 하루 걸음을 시작한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유 1:4 이는 가만히 들어온 사람 몇이 있음이라 그들은 옛적부터 이 판결을 받기로 미리 기록된 자니 경건하지 아니하여 우리 하나님의 은혜를 도리어 방탕한 것으로 바꾸고 홀로 하나이신 주재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자니라 가만히 들어온 사람은 이단을 말한다. 이단은 처음엔 비슷했다가 끄트머리에서 표변한다. 그들의 논지는 비슷하다. 결국 예수 그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