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로마서 8:29

롬 8:29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을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미리 아신 자들이란 신자를 말한다. 모태에서 형질이 지어지기 전, 즉 만세 전부터 택함받은 자들이다. 이 예정과 선택은 영원의 영역에서 전지하신 하나님에겐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바울은 그 선택의 목적이 신자로 하여금 아들이신 그리스도의 형상을 본받게 하는 데에 있다고 말한다. 성경에서 형상이라는 단어는 성품이나 탁월성의 측면도 포함하지만 ‘관계’의 개념이 우선한다. 깊은 관계의 회복이다.

그 과정에서 그리스도의 성품과 능력을 닮으며 소명의 길을 가게 하시다가 영원에 이를 때 하나님 나라의 로열패밀리로 삼위 하나님과 함께 하는 것이다. 죄와 저주에 시달려 찌질했던 내가 단지 지옥행을 면한 정도가 아니라 신분의 반전과 함께 정체성 자체가 극적으로 달라지는 은총을 입었다. 십자가의 은혜는 그 폭과 깊이가 너무나 무궁하다. 사람을 지으신 하나님의 의도는 심원하며 부요하다.

구원 이후에도 ‘견인의 은혜’를 계속 부으시는 이유는 구원받은 나에게 이런 존귀한 영적 DNA가 심겨져 있기 때문이다. 성경은 내가 왕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라 말했다. 이것이 곧 나의 정체성이다. 지금은 구원받기 이전의 습관이 지닌 관성으로 부끄러울 때가 많지만 나의 신분은 존귀하며 영광스럽다. 오늘도 그 신분증을 의식하고 그리스도를 바라보며 하루 걸음을 내딛는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