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시편 137:1-3

시 137:1-3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에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그 중의 버드나무에 우리가 우리의 수금을 걸었나니 이는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며 우리를 황폐하게 한 자가 기쁨을 청하고 자기들을 위하여 시온의 노래 중 하나를 노래하라 함이로다

바벨론의 포로가 된 이스라엘이 시온의 성전을 회상하며 지은 애가이다. 강변에 앉은 이유는 시온에서 멀어졌기 때문이다. 포로로 잡혀 간 이방의 땅에서 강변은 성전을 대신하는 장소가 되었다. 성전을 잃어버린 이스라엘은 이방에게 희롱의 대상이 된다. 버드나무에 수금을 건 이유는 노래를 접음으로 하나님을 더 욕되게 하지 않기 위함이다. 맛을 잃은 소금의 신세와 방불하다.

코로나 상황에서 그 이전을 생각하며 안타까워 하는 마음이 있다. 그 때 입을 열어 마음 껏 찬양하며 뜨겁게 기도하며 거침없이 교제하던 이전의 기억을 더듬으면서다. 성전에 모이는 것과 성도가 서로를 가까이 하는 것이 부담이 되는 시절, 가급적 그런 상황을 피하는 시절이 되었다. 육신은 아니지만 정서적으로는 바벨론의 강변에 있는 것과 다를 바 없음이다.

바벨론은 세상을, 시온은 성전을 의미한다. 성전을 잃어버리면 세상에 패배하면서 강변에서 우는 신세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중에는 다니엘이나 에스더, 에스겔같은 이들도 있다. 자신의 죄가 아니라 동족의 죄과로 인해 우는 처지가 되었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심지를 잃어버리지 않는 사람에게는 그들의 길을 살펴주시는 은혜가 역사한다. 시온의 노래는 시온에서 불러야 하는데 내 마음의 시온은 누구도 빼았을 수 없다. 각자의 마음의 시온에서 하나님을 향한 노래가 울리게 하자.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잠 1:23 나의 책망을 듣고 돌이키라 보라 내가 나의 영을 너희에게 부어 주며 내 말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저자는 지혜를 의인화한다. 지혜의 근원이 인격적인 하나님의 배려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서 그렇지 기실 하나님께서 알게 하시고 보게하시고 느끼게 하시는 데서 오는 은총이다. 본문에서 ‘나의 영을 부어준다’는 의미다. 솔로몬은

히 13:18-19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우리가 모든 일에 선하게 행하려 하므로 우리에게 선한 양심이 있는 줄을 확신하노니 내가 더 속히 너희에게 돌아가기 위하여 너희가 기도하기를 더욱 원하노라 모든 일에 선하게 하려는 것은 예수님 은혜 안에서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이 가능하다. 이 동력을 성령의 감화라 한다. 주 안에서 행하는 모든 것에 기도가 필요한

히 13:1-2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아브라함이 접대한 나그네는 천사들이었다(창 18장). 만약 아브라함이 그들을 냉대했다면 그 뒤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우선 이삭의 출생에 대한 예언부터 듣지 못했을 것이다. 생면부지의 나그네를 극진히 접대한 것은 형제 사랑에서 우러난 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