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명기 26:2

신 26:2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신 땅에서 그 토지의 모든 소산의 맏물을 거둔 후에 그것을 가져다가 광주리에 담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으로 그것을 가지고 가서

가나안에 들어가 경작한 소산의 첫 열매를 성소의 제단 앞에 놓으라 하신다. 그리고 출애굽의 은혜와 가나안을 기업으로 얻게 하신 하나님을 향해 경배를 드리라 명한다. 물질의 헌신은 소유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마음과 그 분에게 삶을 의탁하는 신뢰에서 우러나오는 신앙고백이다.

현실적인 필요가 늘 압박하는 현실에서 첫열매나 십일조를 드리는 것과 같은 물질헌신이 쉬운 것은 아니다. 물론 하나님은 그런 신앙고백적 결단과 헌신에 축복으로 응답하시지만 대부분 그 고비를 넘는 과정에서 내적 씨름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일단 그 고비를 넘어서면 마음에 형성된 신뢰관계가 외적으로 확인되는 의미가 있다. 성경에서 물질헌신을 언급할 때 중요하게 보는 대목이다. 누가 주인인가 하는 것이다.

구약시대에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은 현실적으로 일어난 사건이었다. 애굽의 종살이하던 민족이 가나안 땅의 지주가 되었다. 천지의 주권자가 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따른 까닭이었다. 그 신뢰는 예배드림과 물질헌신으로 표시되었다. 신약시대는 사탄의 종으로부터의 자유와 천국과 영생의 은총을 받은 시대다. 그 일을 이루신 예수님 역시 신뢰의 표시를 보기를 원하신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