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명기 17:14

신 17:14 네가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에 이르러 그 땅을 차지하고 거주할 때에 만일 우리도 우리 주위의 모든 민족들 같이 우리 위에 왕을 세워야겠다는 생각이 나거든

하나님은 왕정을 원치 않으셨다. 왕정 발상의 근원이 우상문화에 바탕한 주위 민족들이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택하신 지도체제는 하나님의 영을 받아 활동한 사사시스템이었다. 사사들의 지휘 아래 하나님을 실질적인 왕으로 따르기를 원하셨던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기어이 왕을 세운다. 훗날 그들이 왕을 요구했을 때 하나님은 사무엘을 통해 이렇게 말씀하셨다.

삼상 8:6-7 우리에게 왕을 주어 우리를 다스리게 하라 했을 때에 사무엘이 그것을 기뻐하지 아니하여 여호와께 기도하매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백성이 네게 한 말을 다 들으라 이는 그들이 너를 버림이 아니요 나를 버려 자기들의 왕이 되지 못하게 함이니라

처음 왕이 사울이었는데, 첫 단추부터 어긋나기 시작했다. 원치않으심에도 왕정을 허락하신 이유는 뭘까. 그것은 마치 유산을 먼저 챙겨달라는 탕자의 요구를 들어주는 누가복음의 아버지와 같다. 옳아서가 아니라 세상과 짝하는 부패한 본성이 너무 강했기 때문이다. 겪어보고 대가를 치루어야 실체를 깨닫는 몽매함에 ‘그래 한 번 겪어봐라..‘ 하신 것과 같다.

내 삶에도 이런 것들이 있었다. 하나님이 좋아하시지 않을 줄 알면서도 육신이 앞장서서 일을 벌였다가 결국은 하나님도 나도 실망을 끌어안게 했던 일들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대하는 마음으로 나를 대하셨을 것이다. ‘굳이 그렇게 해야겠니.. 알았다 한 번 겪어보거라..’ 돌이켜보면 겉의 일이 잘돌아갔어도 속의 영혼은 쇠약했었다. 앞으로 더 조심해야겠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