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18:11

요 18:11 예수께서 베드로더러 이르시되 칼을 칼집에 꽂으라 아버지께서 주신 잔을 내가 마시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스승이 체포될 때 그나마 칼을 빼든 사람이 베드로였다. 그 상황에서 할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방법 중의 하나였다. 다른 경우가 있다면 자신이 전날 밤 식사 자리에서 호언했던 것처럼 옥에도 죽는 데에도 함께 가는 것이었다. 베드로는 함께 하는 것보다 칼을 선택했다. 그게 안 통했을 때 그는 멀찍이 달아났다. 그는 그 상황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것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인간의 한계였다.

칼을 빼든 것은 상식적으로 타당했다.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는 없지 않은가. 멀찍이 달아나는 것도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스승을 팔아먹은 제자도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제자들은 사람이 할 수 있는 것들을 모두 드러냈다. 그러나 그 수준은 하나님의 경륜에는 끝자락도 안 닿았다. 내가 생각하고 선택하는 대부분의 판단과 결정들이라는 게 이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과 같다.

베드로가 칼을 생각했을 때 예수님은 아버지께서 주신 잔을 생각하고 계셨다. 하나님의 길과 사람의 길이 이렇게 다른 것이다. 예수께서 재판받으실 때 하늘에는 천군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베드로의 칼은 대안이 아니었다. 그간 내가 판단하고 행했던 일들이 베드로가 빼들은 칼과 같은 경우가 얼마나 많았을까. 내 딴에는 최선이라 생각한 일들이 주님 보시기에는 아닌.. 그런 경우들이다.

훗날에 베드로 역시 아버지께서 주신 잔을 마시게 된다. 그 때에는 칼을 빼드는 실수를 다시 하지 않는다. 나는 언제나 그 수준에 이를까. 칼은 내 안의 육신을 향해 빼들 일이다. 주님의 오래참으심이 감사할 뿐이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애 3:17-18 주께서 내 심령이 평강에서 멀리 떠나게 하시니 내가 복을 내어버렸음이여 스스로 이르기를 나의 힘과 여호와께 대한 내 소망이 끊어졌다 하였도다 예레미야의 탄식은 유다의 아픔에 동일시하는 탄식이다. 누군가를 향한 중보가 깊어지면 그의 기쁨이 나의 기쁨이 되며, 그의 아픔은 나의 아픔이 된다. 그의 안위 또한 자신의 안위가 되기에 그를 끊으

애 2:17 여호와께서 이미 정하신 일을 행하시고 옛날에 명령하신 말씀을 다 이루셨음이여 긍휼히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너뜨리사 원수가 너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게 하며 네 대적자들의 뿔로 높이 들리게 하셨도다 신명기를 보면 이스라엘의 장래에 대한 모세의 우려가 담긴 대목이 있다. 신 31:29 ‘내가 알거니와 내가 죽은 후에 너희가 스스로 부패하여 내가 너희에게

애 2:5 주께서 원수 같이 되어 이스라엘을 삼키셨음이여 그 모든 궁궐들을 삼키셨고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사 딸 유다에 근심과 애통을 더하셨도다 애 2:7 여호와께서 또 자기 제단을 버리시며 자기 성소를 미워하시며 궁전의 성벽들을 원수의 손에 넘기셨으매 그들이 여호와의 전에서 떠들기를 절기의 날과 같이 하였도다 회개하지 않는 죄는 주님에게 원수같이 되어 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