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13:8,10


요 13:8 베드로가 이르되 내 발을 절대로 씻지 못하시리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를 씻어 주지 아니하면 네가 나와 상관이 없느니라

요 13:10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느니라 온 몸이 깨끗하니라 너희가 깨끗하나 다는 아니니라 하시니

마지막 식사 자리에서 예수님은 일상에서 가장 더러워지기 쉬운 발을 씻어주신다. 베드로가 만류를 할 때 예수님은 섬김의 정신만이 아니라 중생과 속죄의 이치까지 말씀하신다. 이미 목욕한 자는 중생한 자를 말한다. 그는 발만 씻으면 된다 하신다. 즉 일상의 회개이다. 구원의 은총을 받은 자는 일상의 회개를 통해 속죄함을 받으며 주님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뜻이다.

나는 본디 본성이 부패한 죄인이었다. 십자가의 은혜로 예수님과 연합한 까닭에 죄에 대해서 죽었지만 죄가 죽은 것은 아니다. 내 안에는 여전히 죄의 관성과 세상과 마귀의 유혹이 옛사람의 길을 따르게 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런 죄는 주님과의 관계를 손상시킨다. 깨진 상태를 복원시키는 것이 회개이고 회개할 때 예수님의 피가 적용된다. 이런 회개가 없다면 그 사람은 주님과 상관이 없다.

발은 매일 씻어야 한다. 일부러 더럽게 하려 하지 않아도 세상판 자체가 죄로 가득하기에 은연중 묻는 더러움도 많다. 보는 것과 듣는 것을 통해, 죄성에 물들었던 내 안의 부패함이 행위로 드러나면서 발이 더러워지는 일은 수도 없이 생긴다. 말씀을 통해 무엇이 더러워졌는지, 어떻게 더러워졌는지를 깨닫고 예수님의 피를 의지하지 않으면 주님과 점점 더 멀어진다. 목욕시켜 주신 은혜와 발을 씻게 하시는 은혜가 너무 감사하다.

*주님 오늘도 성찰의 기도를 통해 발씻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게 하시옵소서.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