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12:43


요 12:43 그들은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

‘더’는 비교급 표현이다. 그러니 하나님을 전혀 사랑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단지 덜 사랑한 것이다. 이런 마음은 자기착각에 종종 빠지게 한다. 하나님에게서 그리 멀지않다는 생각을 하게 하기 때문이다. 당시 유대인들이 그랬다. 이보다 고단수는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기치를 걸고 사람의 영광을 챙기는 경우다. 성경에서 대표적 사례가 사울왕 케이스이다. 노골적이든 우회적이든 이런 경향은 거의 모든 삶의 분야에서 발생하는데 하나님의 영광은 포장지처럼 쓰여진다.

영광을 구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인정욕구가 개재되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문제는 누구로부터 더 많이 인정을 받는가인데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이 우선이라면 사람의 영광을 구하는 것이고, 하나님의 인정에 우선순위를 둔다면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 것이다. 어떤 방향을 잡든 나의 실상은 하나님 앞에 숨김없이 파악된다. 바울의 말처럼 하나님은 업신여김을 받지 않으시는 분이시다. 그래서 하나님 앞에선 사필귀정을 피할 수 없다. 모든 액션의 동기를 분별하는 일에 소홀해서 안되는 이유다.

주님은 오늘 본문을 통해 너는 그간 당신의 영광보다 사람의 영광을 구한 적이 없더냐 물으시는 거 같다. 낯이 뜨겁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애쓰기도 했지만 그못지않게 은근히 내 이름 석자를 구한 적이 적지 않다. 천국에서 내 인생의 파노라마를 특수영상기기로 보게된다면 쥐구멍을 찾을 것임에 틀림없다. 대오각성하고 오늘이라 부르는 날에 세상에 걸친 인정욕구를 한 번 더 뒤지면서 깨끗이 정리하는 과정을 가져야겠다. 주님께 이중간첩처럼 찍히지는 말아야 할 일이다.

*태생적 죄인인 저를 긍휼히 여기사 삶과 생활의 동기까지 정화하여 주시옵소서.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