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8:7


요 8:7 그들이 묻기를 마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일어나 이르시되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하시고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을 곤경에 빠뜨릴 목적으로 간음한 여인을 데려와 처분에 대해 물었다. 그 때 두 가지를 행하셨는데 하나는 땅에 글을 쓰신 것이고, 또 하나가 죄없는 자가 돌로 치라는 것이었다. 당시엔 간음 등 주요 계명을 어긴 자는 투석살, 즉 돌로 쳐죽이는 관례가 있었다. 먼저 처벌 당사자의 아비가 돌을 던지면 준비된 형장에 있던 사람들이 쌓여있던 돌을 들어 던지는 형벌이었다.

땅에는 무슨 글을 쓰신걸까. 적지않은 설교자들은 십계명을 쓰셨을 것으로 추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 살벌한 현장에서 그 모습은 자연스럽게 눈길을 끌었을 것이고 한 두 계명만 가지고도 능히 십계명을 연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거기서 사람들은 자신들을 정죄하는 계명들을 접한다. 그리고 너나 할 것없이 죽을 죄인임을 자각하고는 슬며시 그 자리를 빠져나간다. 예수님은 용서를 전하신다.

용서와 화해는 다르다. 화해는 쌍방이지만 용서는 일방이다. 상대의 회개나 변화의 여지가 없어도 스스로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용서다. 용서는 상대에 대한 원한이나 적개심을 내려놓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상대가 변하지 않았을지라도 할 수 있는 것이 용서이며, 해야 하는 것이 용서다. 용서는 심판자이신 주님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겠다는 표시이자 자신 역시 용서가 필요한 존재임을 인정하는 겸허의 표시이기도 하다.

기세등등했던 사람들은 양심에 가책을 느끼고 하나 둘 씩 사라졌다. 세상과 사건들과 사람들을 보면서 정죄감을 가질 때가 있다. 정죄받아 마땅한 근거들이 수두룩했기에 거침없이 정죄한다. 주님은 네 말이 맞다고 않으시고 너는 죄가 없는가를 물으신다. 그러고보니 돌맞을 일이 허다했다. 세상을 두고 정죄할 일이 아니라 중보해야 했던거다. 이 아침에 나의 양심이 돌에 맞은 듯 얼얼하다. 은혜 아니면 살 길이 없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