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6:51


요 6:5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내가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니라 하시니라

한국전통문화에서 떡은 간식이지만, 성경에서의 떡은 주식이다. 밥과 같다. 밥은 생존에 필수이다. 그러므로 밥은 곧 생존이다. 예수님이 떡이라 함은 예수님을 만나지못하면 살았다하나 죽은 것과 다를 바 없다는 말이다. 예수님은 이생만이 아니라 영생을 위해 오셨다. 영생의 본질은 그리스도와의 사랑의 연합에 있다. 그 연합이 멸망으로부터의 구원과 천국의 복락을 누리게 하는 것이다.

요 17:3 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가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여기서 그리스도를 안다는 것은 성경퀴즈 풀듯 지식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예수님은 이미 십자가에서 몸찢고 피흘리시는 사랑으로 다가오셨다. 하나님은 나로 하여금 그 사랑을 받아들이고 예수님과 연합하며 동행하기를 원하신다. 초기에는 이전에 자리잡았던 세상성이 설치며 혼전을 거듭하지만 결국은 은혜의 자리로 돌아오게 하신다.

그러나 이 떡을 계속 먹지 않으면 육성과 세상성을 이기기 쉽지않다. 중생이 영생의 시작이지만 진정한 중생은 사영리를 입으로만 외는 것과 다르다. 진짜 중생은 가치관과 세계관이 복음적으로 변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생을 넘어 영원을 바라보게 한다. 이런 은혜는 떡을 계속 먹을 때 견고하게 유지된다. 영생을 얻는 자는 이 떡을 먹는데 우선순위를 둔다. 그 과정에서 기쁨과 평안이 흐른다. 이것이 영생을 얻은 증거이다.

*오늘도 살아있는 떡을 먹습니다. 오늘도 십자가의 대속의 은혜를 붙듭니다. 오늘도 연합하신 주님을 믿음으로 바라봅니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