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요한복음 5:10


요 5:10 유대인들이 병 나은 사람에게 이르되 안식일인데 네가 자리를 들고 가는 것이 옳지 아니하니라

38년 된 병자가 고침을 받았다. 유대인들은 그 이적이 안식일에 일어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치유를 하거나 자리를 드는 움직임은 하지 말아야 하는 날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바리새인들이 주도했을 상황이었음에도 좀 더 광범위한 유대인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이런 인식이 당시 유대나라를 지배하던 문화적 바탕에서 왔음을 보여준다. 인간이 율법을 얼마나 오남용할 수 있는 보여주는 예다.

유대인들은 고정관념에 사로잡혔다. 달을 보아야 하는데 달을 가리키는 손만 본 격이다. 율법의 핵심을 놓쳤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에게서도 멀어져 있었다. 그 고정관념은 지금도 작동한다. 사회주의나 이슬람 못지않게 기독교를 철저하게 핍박하는 사람들이 유대교인들이다. 그들은 아직도 예수님을 메시야로 인정하지 않는다. 하나님을 믿는다면서도 이렇게나 빗겨나갈 수 있다.

나는 어떨까.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하나님에게서 먼 언행심사는 없을까. 못하고 있는 것은 많다. 차라리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나을 수 있다. 기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라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완전히 잘못 짚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대인들의 치명적 맹점은 무엇이었나. 그들에겐 하나님이 원하시는 사랑이 없었다. 일단 사랑에서 나오지 않은 것은 경계해야 한다. 아니 버려야 한다.

*주님 제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사고와 행위의 오류를 깨닫게 하시고 습관의 근원조차도 올바로 분별하게 하시옵소서.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소금은 삼투압 유지나 알카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의 생존에 물과 함께 중요한 요소다. 짜면서도 미네랄 성분 때문에 단 맛도 함께 지닌 소금은 로마시대에는 월급 대신 지불될 정도로 현금 가치를 지닌 광물이었다. 소금은 음

골 3:23-24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세상에 속한 사람에겐 여러 기준이 작용한다. 상식의 기준, 자아의 기준, 본능의 기준 등이다. 이로 인해 온갖 복잡다단한 일들이 생긴다. 하나님에게 속한 신자에겐 주님의 기준이 있다. 오히려

골 3:1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평강의 반대는 불안이다. 폴 틸리히는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경험할 때 가지는 감정을 불안이라 설명하고 주로 죽음과 공허, 죄의식에서 나타난다고 했다.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죄중에 잉태된 사람은 출생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