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베소서 5:4


엡 5:4 누추함과 어리석은 말이나 희롱의 말이 마땅치 아니하니 오히려 감사하는 말을 하라

말은 말하는 사람의 마음에서 나온다. 잠깐 위장을 할 수 있지만 길게 덮을 수는 없다. 말로써 그 사람의 정신세계가 어떤지를 짐작할 수 있는 이유다. 마음이 어두우면 어두운 말을 하고 마음이 밝으면 밝은 내용의 말을 한다. 따라서 하나님을 마음에 모신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말에는 내용의 차이가 분명하다. 하나님을 모신 사람은 심플하고 명료하며 깔끔하다. 복선이나 가식이 없다. 폐부를 헤아리시는 하나님의 인격이 의식되어서이다.

예수님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을 모시고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셨다. 그 중 예수님의 말씀은 좋은 샘플이다. 성경 역본 중에 레드레터에디션(Red Letter Edition)이 있다. 예수께서 직접 말씀하신 부분을 붉은 색으로 인쇄한 성경이다. 역시 심플하고 명료하고 깔끔하며 단호하다. 거기에 배여있는 따스한 감성이랴. 당시 사람들은 진리 자체이신 분에게서 우러나오는 영적 아우라를 느끼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나의 말의 컬러는 어떨까. 늘 청옥처럼 맑았으면 좋겠다는게 소망이다. 그것도 애쓰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맑음’이다. 감사의 분위기는 충분할까. 주님과의 사이에서는 감사보다는 하소연 분위기가 지배적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없는 것을 의식하는 것이 발전의 동기가 될 수 있지만 감사가 없다면 믿음으로 산다고 말할 수는 없다. 바울은 감사의 말을 하라 강권한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감사의 말도 해야 함을 새삼 깨달았다. 그것도 힘있게, 뭔가 믿는 구석이 있는 거 같은, 실제로도 그러니까, 그런 분위기로 감사의 말을 해야하는 것이다.

*사랑의 주님, 이것저것 구하는 건 많아도 감사의 말은 적었습니다. 감사의 말을 많이 하겠습니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