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레위기 9:23-24


레 9:23-24 모세와 아론이 회막에 들어갔다가 나와서 백성에게 축복하매 여호와의 영광이 온 백성에게 나타나며 불이 여호와 앞에서 나와 제단 위의 번제물과 기름을 사른지라 온 백성이 이를 보고 소리 지르며 엎드렸더라

제사를 통해 공동체가 정화되었을 때, 여호와의 영광이 나타났다. 온 백성이 소리를 지를 정도의 가시적 임재현상이 있었으며 여호와의 불이 제물을 불살랐다. 그 시점은 모세와 아론이 회막에 들어갔다가 나온 직후였다. 이들은 회막에서 먼저 셰키나의 영광을 보았을 것이다. 그들이 그 영광 가운데서 살아나왔다는 것 자체가 공동체를 열납하신다는 증거였고 백성에게 축복할 때, 그 영광이 백성들에게도 나타난 것이다.

여호와의 불은 이때부터 내내 번제단에 타올랐고, 이후에는 하늘에서 내린 여호와의 불로 모든 직임을 행했다. 유사한 현상이 엘리야가 세운 갈멜산 제단에서 있었다. 사람이 붙이는 세상의 불이 아니라 하늘에서 내린 특별한 불이었다. 이로써 백성들은 하나님의 존재와 경륜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제사는 일방적 의식이 아니었다. 하나님께서 열납하시고 반응하시는 소통의 의식이었음이 증명된 것이다.

구약시대의 제사가 그랬다면 신약교회의 예배가 그러하다. 다르다면 불의 성격이다. 구약의 불은 제물 전체를 실제로 불살랐지만 신약의 성령의 불은 족집게처럼 마음을 더럽히는 것들을 불사른다. 모세가 보았던 떨기나무의 불과 유사하다. 붙었으나 타지 않는, 그리고 꺼지지 않는 특별한 불이다. 떨기나무같이 보잘 것없는 우리에게 붙은 성령의 불과 같다. 그런 불이 타올라 꺼지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그 불을 번지게 해야 한다. 그 불씨가 되어야 한다. 나는 불씨다.

*영적인 불들을 번지게하는 불씨처럼 쓰여지기를 소망합니다. 하나님의 존재를 드러내기를 원합니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히 12:28-29 그러므로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았은즉 은혜를 받자 이로 말미암아 경건함과 두려움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길지니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흔들리지 않는 나라를 받은 자의 멘탈은 경건함과 두려움, 즉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이 주도한다. 칼빈이 말한 ‘코람 데오’와 같은 맥이다. 이 마음은 일상에서 하나님 편에 서서 생각하고

히 12:2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예수님을 바라본다는 것은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을 말한다.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의식하고, 예수님의 말씀과 활동을 집중해서 의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의 아름다움을 보려는 갈

히 11:26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믿음체질이 있고 세상체질이 있다. 믿음체질은 진리에 속한 것이 아니면 마음에 잘 받지 않는 성향이다. 세상이 아무리 좋다해도 진정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안맞는 음식을 먹는 거 같아 속이 편하지 않다. 결국은 속이 편한 것을 찾게 되는데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