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레위기 5:11


레 5:11 만일 그의 손이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두 마리에도 미치지 못하면 그의 범죄로 말미암아 고운 가루 십분의 일 에바를 예물로 가져다가 속죄제물로 드리되 이는 속죄제인즉 그 위에 기름을 붓지 말며 유향을 놓지 말고

속죄제를 드릴 때에는 송아지, 염소, 어린 양 등의 희생제물이 필요했다. 그런 제물을 드릴 형편이 안될 때엔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로 제물을 드려야 했다. 본문은 비둘기조차도 드릴 여유가 없는 사람을 위한 최소한의 예물을 제시한다. 곡식을 빻은 고운 가루이다. 즉 누구라도 제물없이는 속죄 처리가 안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하나님께서 뭘 받는 것을 좋아하셔서가 아니다. 죄에는 대가가 있다는 뜻이다.

제물은 궁극적으로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암시한다. 세례 요한이 예수님을 소개하면서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한 이유이다. 또 한편 죄는 대가를 피할 수 없음을 알린다. 최소한의 희생이라도 치루어져야 한다. 하나님의 공의 때문이다. 어떤 제물이 되었든 제사를 드리면서 사람들은 그 점을 절감했을 것이다. 만일 이런 방식으로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스스로 그 삯을 치루어야 한다. 하나님은 죄를 그냥 넘기시지 않기 때문이다.

신약시대의 교회는 십자가의 대속으로 어마어마하게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받는 은혜를 입었다. 이제 우리가 드리는 예물은 감사의 성격을 지닌다. 속죄는 십자가의 대속을 전제로 한 회개와 자백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의 과정은 감사와 찬양의 표현으로 보면 된다. 구약의 속죄처리과정은 죄의 심각성과 속죄의 깊이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해주는 유익이 있다. 생각할 수록 예수님의 성육신과 수난에 담긴 대속의 은혜가 너무나 감사하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잠 2:6-7 대저 여호와는 지혜를 주시며 지식과 명철을 그 입에서 내심이며 그는 정직한 자를 위하여 완전한 지혜를 예비하시며 행실이 온전한 자에게 방패가 되시나니 하나님은 아가페를 본질로 삼으시며 지혜로 만유를 다스리신다. 만물은 하나님의 지혜로 가득한 통치 원리를 따라 만들어졌고 그 원리를 따라 운행한다. 피조된 인생 역시 그 경륜과 통치의 원리를 따

잠 1:23 나의 책망을 듣고 돌이키라 보라 내가 나의 영을 너희에게 부어 주며 내 말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저자는 지혜를 의인화한다. 지혜의 근원이 인격적인 하나님의 배려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서 그렇지 기실 하나님께서 알게 하시고 보게하시고 느끼게 하시는 데서 오는 은총이다. 본문에서 ‘나의 영을 부어준다’는 의미다. 솔로몬은

히 13:18-19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우리가 모든 일에 선하게 행하려 하므로 우리에게 선한 양심이 있는 줄을 확신하노니 내가 더 속히 너희에게 돌아가기 위하여 너희가 기도하기를 더욱 원하노라 모든 일에 선하게 하려는 것은 예수님 은혜 안에서 성령님의 도우심으로만이 가능하다. 이 동력을 성령의 감화라 한다. 주 안에서 행하는 모든 것에 기도가 필요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