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빌립보서 4:11-12


빌 4:11-12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나는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 곧 배부름과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처할 줄 아는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사람은 비천과 배고픔과 궁핍의 상태에서 자족하기가 쉽지않다. 자기 탓이나 남 탓을 하며 가라앉기 쉬울 수 있다. 비신자에게도 나타나는 상식적 수준의 반응이다. 신자에게 나타나야 하는 반응은 무엇일까. 일단 염려하지 않는 것이다. 예수님은 산상수훈에서 염려란 이방인이 하는 것임을 밝히셨다. 이방인, 즉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들을 상징한 말씀이다. 그럼 염려하지 않을 때의 마음은 어떤 상태여야 할까.

바울은 ‘자족하는 마음’을 말한다. 어떤 형편이든 스스로 넉넉하게 여기는 것이다. 이런 마음은 보배이신 그리스도를 참 앎으로 가능하다. ‘참 앎’이란 지식이나 관념이 아니라 체험적 앎을 말한다. 이른바 임마누엘의 실제이다. 자족하기를 배웠다고 한 것을 보면 바울도 이 수준에 이르기까지 연단이 필요했던 거 같다. 하루 아침에 그 수준에 이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배워갔다는 것은 내면에서 일어나는 싸움의 과정이기도 하다. 비천과 궁핍의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를 놓고 믿음과 상식 사이에서 일어나는 치열한 공방전이다. 이 과정에서 믿음은 허실을 드러낸다. 데스티니와 영생의 확신이 분명하면 자족하는 은혜를 얻지만, 죄성이나 기복성이 강하면 자족하는 마음을 가지기란 쉽지 않다. 자족하지 않고 있다면 점검이 필요하다. 넉넉함의 기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본문을 통해 읽는 이의 신앙의 허실을 드러낸다.

*바울처럼 일체의 비결을 배우기를 원하오니 그리스도를 ‘참 앎’으로 이르게 하시옵소서.

 

Recent Posts

See All

요한복음 7:23ㅣ1월 24일

요 7:23 모세의 율법을 범하지 아니하려고 사람이 안식일에도 할례를 받는 일이 있거든 내가 안식일에 사람의 전신을 건전하게 한 것으로 너희가 내게 노여워하느냐 유대인들은 안식일에는 노동이나 노동에 준하는 일들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할례의식은...

요한복음 7:3-4ㅣ1월 23일

요 7:3-4 그 형제들이 예수께 이르되 당신이 행하는 일을 제자들도 보게 여기를 떠나 유대로 가소서 스스로 나타나기를 구하면서 묻혀서 일하는 사람이 없나니 이 일을 행하려 하거든 자신을 세상에 나타내소서 하니 예수님의 동정녀 탄생 이후 요셉과...

요한복음 6:62-63ㅣ1월 22일

요 6:62-63 그러면 너희는 인자가 이전에 있던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본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은 영이요 생명이라 생명의 떡은 대속의 섭리를 담고 있다. 대속의 은혜로 산다는 것은 생명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