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빌립보서 4:11-12


빌 4:11-12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나는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 곧 배부름과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처할 줄 아는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사람은 비천과 배고픔과 궁핍의 상태에서 자족하기가 쉽지않다. 자기 탓이나 남 탓을 하며 가라앉기 쉬울 수 있다. 비신자에게도 나타나는 상식적 수준의 반응이다. 신자에게 나타나야 하는 반응은 무엇일까. 일단 염려하지 않는 것이다. 예수님은 산상수훈에서 염려란 이방인이 하는 것임을 밝히셨다. 이방인, 즉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들을 상징한 말씀이다. 그럼 염려하지 않을 때의 마음은 어떤 상태여야 할까.

바울은 ‘자족하는 마음’을 말한다. 어떤 형편이든 스스로 넉넉하게 여기는 것이다. 이런 마음은 보배이신 그리스도를 참 앎으로 가능하다. ‘참 앎’이란 지식이나 관념이 아니라 체험적 앎을 말한다. 이른바 임마누엘의 실제이다. 자족하기를 배웠다고 한 것을 보면 바울도 이 수준에 이르기까지 연단이 필요했던 거 같다. 하루 아침에 그 수준에 이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배워갔다는 것은 내면에서 일어나는 싸움의 과정이기도 하다. 비천과 궁핍의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를 놓고 믿음과 상식 사이에서 일어나는 치열한 공방전이다. 이 과정에서 믿음은 허실을 드러낸다. 데스티니와 영생의 확신이 분명하면 자족하는 은혜를 얻지만, 죄성이나 기복성이 강하면 자족하는 마음을 가지기란 쉽지 않다. 자족하지 않고 있다면 점검이 필요하다. 넉넉함의 기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본문을 통해 읽는 이의 신앙의 허실을 드러낸다.

*바울처럼 일체의 비결을 배우기를 원하오니 그리스도를 ‘참 앎’으로 이르게 하시옵소서.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