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예레미야 2:13


렘 2:13 내 백성이 두 가지 악을 행하였나니 곧 그들이 생수의 근원되는 나를 버린 것과 스스로 웅덩이를 판 것인데 그것은 그 물을 가두지 못할 터진 웅덩이들이니라

유다의 백성들이 저지른 죄의 본질은 하나님을 버린 것이다. 하나님을 대적한 것은 아니었다. 버린 것과 대적한 것은 다르다. 그래서 대적하지 않으면 사이가 괜찮을거라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 대적하지 않아도 함께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다 백성들은 함께 하지 않는 것이 버리는 것과 같은 것임을 깨닫지 못했다.

마 12:30 나와 함께 아니하는 자는 나를 반대하는 자요 나와 함께 모으지 아니하는 자는 헤치는 자니라

왕에게는 충성 아니면 반역, 둘 중의 하나다. 둘 사이에서 저울질하는 경우가 있는데 눈치빠른 왕이라면 그런 사람에게 신임을 주지 않을 것이다. 가까이 두어도 이용하는 선에서 그칠 공산이 많다. 유다는 성전에서 끊임없는 제사가 드려지고 있음에 마음을 놓았다. 여전히 하나님이 자기 편이 되어줄거라 생각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 그 계산이 잘못된 것임을 밝히고 계신다.

성전제사는 형식이었고 정작 마음은 세상과 우상에 두었다. 강대국의 위용을 부러워했고 그들의 영화를 동경했다. 그리고는 그들이 섬기는 우상에게 다가갔다. 유다가 한발짝 씩 우상에게 다가가면 또 한발짝 씩 하나님께로부터 멀어지는 일이 반복되었다.

진정한 성취의 길을 가자. 예수님과의 연합으로 가는 데스티니와 비전의 길이다. 남 부러울 것 없는 값진 길이다. 생수가 강을 이루게 하는 길이다. 나는 그 길을 가련다. 다만 연합이 덜 되어 부끄러울 따름이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