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역대하 32:1


대하 32:1 이 모든 충성된 일을 한 후에 앗수르 왕 산헤립이 유다에 들어와서 견고한 성읍들을 향하여 진을 치고 쳐서 점령하고자 한지라

히스기야가 대대적인 종교개혁을 잘 마쳤을 때 앗수르 왕 산헤립이 유다를 침공한다. 앗수르의 군사력은 막강했고 악명은 높았다. 이미 북이스라엘은 초토화된지 오래였다. 충성된 일을 했는데 나라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걸리는 심각한 문제가 닥쳤다. 인생은 이럴 수 있다. 아니 충성했는데 왜...? 라는 질문은 우문이다. 절대 문제를 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얼마든지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 인생이다.

이에 대한 히스기야의 반응은 본이 된다. 그는 백성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면서 ‘우리와 함께 하시는 이’가 산헤립의 군대보다 크다 하면서 군사적인 방어조치를 취한다. 하나님을 의지하고 기도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대책을 구체적으로 강구했다. 영적인 대책과 현실적인 대책, 모두를 구사한 것이다. 하나님께서 하실 일이 있고 내가 해야 할 일이 있다. 하나님이 도우시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안될 것처럼 기도해야하고, 내가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안될 것처럼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산헤립이 때와 상대를 잘못 골랐다. 하필 종교개혁한 때였고 하필 신실한 히스기야였다. 하나님께 충성하는 사람은 건드리는게 아니다. 그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도 건드리는 것과 같이 되기 때문이다. 산헤립은 스스로 무덤을 판 꼴이 되었다. 산헤립은 가지가지 종류의 심각한 문제를 상징한다. 하나님을 향한 충성을 다져야겠다. 어떤 문제든 결국은 넘게 될 것이다. 내가 충성한 그 하나님은 어떤 문제보다 크시기 때문이다.

*말씀기도

충성된 길을 가기를 원합니다. 일관되게 충성하기를 원합니다. 죽도록 충성하겠습니다.

 

LIVING LIFE 바로가기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삼상 30:8 다윗이 여호와께 묻자와 이르되 내가 이 군대를 추격하면 따라잡겠나이까 하니 여호와께서 그에게 대답하시되 그를 쫓아가라 네가 반드시 따라잡고 도로 찾으리라 참전문제가 해결되자 또 다른 문제가 터졌다. 시글락에 머물고 있던 가족들이 아말렉의 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내부가 술렁이며 다윗은 또 다른 위기에 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