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일 큐티 05.09 ㅣ사 59:12


사 59:12 이는 우리의 허물이 주의 앞에 심히 많으며 우리의 죄가 우리를 쳐서 증언하오니 이는 우리의 허물이 우리와 함께 있음이니라 우리의 죄악을 우리가 아나이다

나의 허물은 주 앞에 심히 많다. 내가 받는 고통이 죄인임을 증언한다. 그나마 이사야는 그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자기의 죄보다도 자기가 받는 고통에 민감할 뿐이다. 고통을 용인한 하나님을 원망한다. 사랑하시면 이럴 수 있는거냐고 항변한다. 그리고 슬며시 마음에서 신뢰의 끈을 놓는다. 어느덧 신앙은 형식이 되고 교회출석은 보험처럼 되버린다. 마음에는 한 번 보여줘보세요 하는 요구가 끊이지 않는다.

이사야는 보좌에 계신 하나님을 봤을 때 망했다고 탄식했다. 하나님의 영광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선지자였다. 나의 추정에는 그는 그의 죄성으로 영광 앞에 설 수 없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뼛속까지 죄인이라는 자각이 뼈에 사무쳤을 것이다. 계시록을 보면 흥미로운 대목이 등장한다. 어린 양에게는 일곱눈이 있고 보좌주변의 네 생물은 앞뒤로 눈들이 가득하더라고 했다. 그 눈 앞에 어느 인간이 무죄하다고 버틸 것인가.

물두멍 앞에서 하나님의 입장을 헤아리면 하루 한 날도 회개없이 넘어가는 날은 없다. 멀든 가깝든 하루 한 날도 말씀을 떠나지 않은 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찰이나 직장 상사, 심지어 어린 자식이 보고 있는 자리라면 하지 않을 일, 하지 않을 말들을 하나님의 목전에 행하는 경우는 얼마나 많을까. 하늘의 그 눈들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긴 작정이나 약속은 하나 둘이겠으며, 성령께서 함께 계신 현장에서 가진 비성경적인 생각이나 행위들은 어디 하나 둘이겠는가.

이사야의 말이 이렇게 끝나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의 허물이 우리와 함께 있음이라 우리의 죄악을 우리가 아나이다.’ 나는 하나 더 추가한다. ‘내가 모르는 죄악이 더 많으나이다.’ 그 날이 오면 이생에서 내가 무엇을 저지르고 어떤 마음을 품었었는지 모든 것을 환하게 알게 될 날이 오게 될 것이다. 나를 포함해서 인간들은 죄에 익숙한 세상에 태어나 죄에 익숙한 삶을 배웠고 죄에 익숙한 인생을 살면서 뭐가 죄인지 아닌지도 잘 모르는 철부지가 되어버렸다.

이런 무지와 무례함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은 말씀으로 돌아가는 것 밖에는 없다. 그 외엔 없다,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유 1:4 이는 가만히 들어온 사람 몇이 있음이라 그들은 옛적부터 이 판결을 받기로 미리 기록된 자니 경건하지 아니하여 우리 하나님의 은혜를 도리어 방탕한 것으로 바꾸고 홀로 하나이신 주재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자니라 가만히 들어온 사람은 이단을 말한다. 이단은 처음엔 비슷했다가 끄트머리에서 표변한다. 그들의 논지는 비슷하다. 결국 예수 그

삼상 31:4 그가 무기를 든 자에게 이르되 네 칼을 빼어 그것으로 나를 찌르라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이 와서 나를 찌르고 모욕할까 두려워하노라 하나 무기를 든 자가 심히 두려워하여 감히 행하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사울이 자기의 칼을 뽑아서 그 위에 엎드러지매 사울은 전장터에서 자살로 생애를 마감한다. 블레셋에게 죽임당했다는 모욕을 피하기 위해서다. 사울의 재

삼상 30:24 이 일에 누가 너희에게 듣겠느냐 전장에 내려갔던 자의 분깃이나 소유물 곁에 머물렀던 자의 분깃이 동일할지니 같이 분배할 것이니라 하고 아말렉을 쳐부순 뒤,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차별대우가 거론된다. 본문은 이 때 다윗이 내린 지침을 알려준다. 즉 전방에 있던 사람과 후방에 있던 사람 사이에 차별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