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일 큐티 01.03 ㅣ롬 12:17


 

롬 12:17 아무에게도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

(어제 덜 나눈 부분)

악한 일을 당해서 비통한 사람에게 아무런 대책없이 이런 말을 하면 좀처럼 신심이 깊지 않고선 공감을 얻기 어렵다. ‘너도 한 번 당해봐.. 자기는 더 할걸..’ 이런 핀잔이 돌아오기 쉽다. 사실 이런 반응은 인지상정이고 상식적이다. 게다가 한 두 번이 아니라 여러번 겪게 되면 참기 힘든건 당연하다.

받은 악을 같은 악으로 풀지 않으려면 받은 악은 하나님께 맡겨야 한다. 그것을 토설한다고 한다. 정서적 독소이기에 뱉어내야 하는 것이다. 토설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악으로 갚지도 않으면서 받은 악을 그대로 품고 가기에 분노가 조절이 안되는 것이다. 조절되지 않은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스스로를 망치든지 아니면 밖으로 폭발하면서 대인관계를 망친다.

선한 일을 도모하는 것은 수동적으로 가만히 참고 있는 것과 다르다. 적극적으로 화해를 모색하거나 사과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관계의 회복을 꾀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상한 자존감의 저항을 넘어서려면 성령님의 도우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토설하는 과정과 성령님을 의존하는 과정이 빠진다면 본문 말씀을 실천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않다. 그냥 분노를 쌓아갈 뿐일 것이다.

우선 받은 악을 하나님께 고자질^^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자. 있는 그대로, 가진 감정 그대로 하나님 앞에 다 뱉어놓는 것이다. 그리고 선한 일을 도모할 수 있는 아량을 주시도록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자. 은정의 기본 DNA는 사랑과 믿음이다. 사랑과 믿음공동체가 되어 서로를 품을 수 있어야 한다. 안쪽에서 서로를 품지못하면 바깥의 영혼들을 어찌 품겠는가.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