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일 큐티 12.26 ㅣ시 71:7-8


 

시 71:7-8 나는 무리에게 이상한 징조 같이 되었사오나 주는 나의 견고한 피난처시오니 주를 찬송함과 주께 영광 돌림이 종일토록 내 입에 가득하리이다

무리에게 이상한 징조같이 되는 경우가 구설에 오를 때다. 모함이나 비방 등을 말한다. 누군가가 적대감을 가지고 이를 시작하면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리고는 이상한 사람으로, 이상한 일을 하는 사람으로 규정된다. 당사자가 사실을 제대로 밝히는 시점에 이르면 이미 상처투성이가 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무리들은 이렇게 마감한다. ‘아니면 말고...’ 누군가가 본문을 쓴 시인에 대해 그런 공격을 한 거 같다. 시간이 흐르며 시인은 무리들에게 이상한 징조같이 되었다. 그나마 사실을 제대로 밝힐 수 있다면 다행이거니와 그렇지 못한 경우도 수두룩하다. 요즘 빈발하는 학교폭력의 희생자들, 특히 왕따를 당하다가 비극적 선택을 하거나 심리적 음지에서 오랜 세월을 웅크리며 살게되는 사례들 역시 비슷한 경우이다.

시인은 그런 상황에서 무엇을 했는지 알려준다. 아니 성경은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시인을 통해 알려준다. 주께 피하는 것이다. 마음에 있는 것들을 토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단지 주님을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 혹은 기도를 해도 뭉뚱그려서 단번에 넘어가는 기도도 아니다. ‘다 아시지요~’ 하는 단축성 기도이다. 그렇게 해서 평안이 오면 그렇게 해도 무방하나 그렇지 않다면 기도로 맡겼다는 착각만 줄 뿐이다. 주님께 마음을 그늘지게 하는 모든 것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털어놓는 것이다. 마치 누군가 분명한 실력이 있어서 하소연만 잘하면 다 해결해줄 수 있는 실력자를 만나서 시시콜콜 입장을 설명하는 것 같은 자세, 그런 자세가 기도에 필요하다. 신앙인의 마음에 평안이 쉬 찾아오지 않는 것은 거의 대부분 이런 자세가 부족해서이다. 어둡게 하는 것은 빛 가운데 드러내야 한다.

시인은 찬양과 경배를 종일토록 입에 올리겠다고 다짐한다. 무언가 입으로 발성하려면 생각 속에 먼저 길을 트게된다. 찬양과 경배를 입에 올리려면 먼저 하나님을 생각해야 하고, 어떤 면을 찬양하거나 경배할지 정리해야 한다. 자연히 생각은 구설의 부담에서 떨어지게 되고 주님께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종일토록 하겠다는 것은 종일토록 생각이 주님께 머물게 하겠다는 뜻이다. 이것이 구설로부터 마음을 지키는 비결이며 하나님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이다.

*은정 가족들에게

사람들은 종종 누군가를 이상한 징조처럼 몰아세우는 일들을 합니다. 그런 경우 치밀어오르는 분심을 절제하기가 쉽지않겠지만 그럴 경우 마귀의 노림수에 끌려들어가게 됨을 경계해야 합니다. 시인처럼 주님께 맡긴 다음 마음을 주님으로 채우려 해야 합니다. 주님이 끝내실 것입니다.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딛 2:9-10 종들은 자기 상전들에게 범사에 순종하여 기쁘게 하고 거슬러 말하지 말며 훔치지 말고 오히려 모든 참된 신실성을 나타내게 하라 이는 범사에 우리 구주 하나님의 교훈을 빛나게 하려 함이라 바울 서신 곳곳에서 바울은 종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상전들에 대한 신실함과 순종의 덕목을 요청한다. 핵심 이유는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 신자는 세상기준

삼하 24:17-18 다윗이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고 곧 여호와께 아뢰어 이르되 나는 범죄하였고 악을 행하였거니와 이 양 무리는 무엇을 행하였나이까 청하건대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 하니라 이 날에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그에게 아뢰되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소서 하매 다윗은 백성을 치는

삼하 23:15-17 다윗이 소원하여 이르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내게 마시게 할까 하매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진영을 돌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하지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나를 위하여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목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