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 8:6-7(2017년 8월 25일)


 

사 8:6-7 이 백성이 천천히 흐르는 실로아 물을 버리고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을 기뻐하느니라 그러므로 주 내가 흉용하고 창일한 큰 하수 곧 앗수르 왕과 그의 모든 위력으로 그들을 뒤덮을 것이라 그 모든 골짜기에 차고 모든 언덕에 넘쳐

성지에 갔을 때 기혼의 샘터에 내려간 적이 있다. 거기서 나온 샘의 물이 실로암까지 흘러가는데 그 물이 바로 실로아의 물이다. 기혼은 '처녀의 샘'이라는 뜻인데, 수천 년 전부터 예루살렘의 수원지로 사용되어 온 맑은 샘이다. 성전에서 흐르는 것은 아니더라도 성전산에서 흐르는 것이기에 생명수이다. 아울러 거룩한 도성에 생명을 공급하는 하나님의 은혜의 샘물인데 유다백성이 그 물을 저버렸다는 것이다. 하나님 대신 사람을 의지하는 마음을 가리킨다. 기혼의 샘이 막혀 흉용한 하수가 역류한다는 것은 그렇게 의지했던 사람에게 발등을 찍히는 일이 벌어질 것을 가리킨다.

천천히 흐르는 실로아의 물을 귀히 여겨야 한다. 실로아의 물 아닌 것은 모두 하수로 봐야 한다. 실로아의 물은 맑지만 하수는 오염된 물이다. 실로아의 물은 마실 수록 생명이 넘치지만 하수는 마실 수록 폐인이 되게 한다. 세계사책에선 이스라엘의 역사는 변방의 역사요, 피지배국 중 하나에 불과할 따름이다. 남유다같은 약소국이 강대국 앗수르에 기대는 것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정치현상이다. 그러나 영적으로 남유다는 약소국이 아니었다. 하나님께서 눈과 마음을 주신 특별한 민족이다. 머리가 되고 꼬리 되지 않는 잠재성을 받은 민족이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실로아의 물을 마실 때 이야기다.

실로아의 물을 버렸다는 것은 성전산의 하나님 의지하기를 접었다는 것이다. 세상은 이미 우리와 길도 다르고 소속도 다른 존재다. 세상에 무게중심을 두었다면 세상 것으로 세상의 압박을 감당해야 한다. 하나님은 세상을 의지하는 자를 도우시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세상이 얼마나 이율배반적인지를 절감하게 하시면서 각성시키신다. 세상은 이중적이며 복선적이고 음흉하다. 사탄이 통제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통제가 끝장나는 날이 올 것이지만 그 전까지는 사탄이 설치는 일이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실로아의 물을 마시면 하나님께서 산성이, 요새가 되어주신다.

실로아의 물이 귀하다. 앗수르의 하수구를 기웃거릴 일이 아니다. 성전이 자리잡은 시온산에서 흘러나오는 생수를 마셔야 한다. 내가 마시는 물은 어떤 물인가? 내가 생명줄로 알고 마시는 물은 어디에서 흘러나오는 물인가? 그 물은 맑은 물인가? 탁한 물인가? 아니면 섞인 물인가? 은혜의정원교회로부터 실로아의 물이 천천히 흐르는 역사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정재우Joshua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삼상 22:14 아히멜렉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모든 신하 중에 다윗 같이 충실한 자가 누구인지요 그는 왕의 사위도 되고 왕의 호위대장도 되고 왕실에서 존귀한 자가 아니니이까 아히멜렉이 사울에게 진언하고 있다. 추상같은 때에 목숨을 건 일이었지만 진실을 이야기한다. 모두가 왕의 광기가 두려워 입을 다물고 있을 때였다. 이 진언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삼상 22:2 환난 당한 모든 자와 빚진 모든 자와 마음이 원통한 자가 다 그에게로 모였고 그는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와 함께 한 자가 사백 명 가량이었더라 다윗을 중심으로 아둘람공동체가 세워진다. 환난 당한 자들과 마음이 원통한 자들로 인생의 출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윗에게서 그 출구를 보았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리는 다윗임에도

삼상 20:42 요나단이 다윗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우리 두 사람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영원히 나와 너 사이에 계시고 내 자손과 네 자손 사이에 계시리라 하였느니라 하니 다윗은 일어나 떠나고 요나단은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기득권을 포기한 우정, 아버지와의 분리를 각오한 우정으로 다윗은 살았다. 결국 이 우정이 훗날 다윗을 왕위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