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11:33-34 고기가 아직 이 사이에 있어 씹히기 전에 여호와께서 백성에게 대하여 진노하사 심히 큰 재앙으로 치셨으므로 그 곳 이름을 기브롯 핫다아와라 불렀으니 욕심을 낸 백성을 거기 장사함이었더라울면서 고기를 달라한 백성들에게 하나님은 질리도록 먹게 하셨다. 그러나 먹게 하신 것에서 그치지 않으셨다. 욕심을 낸 백성들을 재앙으로 치셨다. 원하는 것을 주셨지만 야단도 치셨다. 망나니 자식이라도 자식은 자식이기에 필요를 공급하지만 불효한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으시는 것과 같다. 그래서 시편 말씀처럼 백성들은 원하는 것은 얻었지만 그 영혼은 쇠약하게 되었다. 원하는 것을 얻어도 기쁨이 없는 경우가 있다. 떼를 써서 얻긴 했지만 주는 이의 마음에 기쁨이 없다면 분위기가 좋을 수 없다. 만일 이스라엘이 출애굽의 은혜와 만나의 공급을 감사하면서, 가나안을 예비하심을 찬양하면서 고기를 구했다면 어땠을까? 그랬다면 하나님께서도 기분좋게 주셨을 것이라 확신한다.재앙을 만난 백성은 '욕심을 낸 백성'이었다. 욕심은 분에 넘치는 생각이다. 받은 바 은혜가 무엇인지 모르고 원망하면 분에 넘치는 생각을 한 것이다. 현재 누리고 있는 것이 어디로부터 왔는지 깨닫지 못해 불평한다면 분에 넘치는 생각을 한 것이다. 조금만 참으면 가나안에 가서 젖과 꿀을 먹게 될 것이다. 하나님 아니었으면 계속 고된 종살이를 했을 사람들이다.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존재했는지조차 알려지지 않은채 사라졌을 사람들이다. 유월절 어린 양을 애매히 죽여 그 피의 대가로 해방과 자유를 주었건만 감사할 줄도, 찬양할 줄도 모른다면 대단한 착각에 빠져 있는 것이고 분에 넘치는 마음, 즉 욕심을 지닌 것이다.사람의 마음이 이처럼 얍쌉하다. 잠깐의 광야를 견디지 못해 대드는 것이다. 과거의 영광도 소용없고 미래의 젖과 꿀도 소용없어지는 것이다. '지금' 걷는 그 길이 험하면 굼시렁하는 것이 나이고 우리이다. 감사와 찬양이 없다면 욕심을 내고 있는 것이다. '지금' 감사하고 찬양드려야 한다. 항상 '지금'은 중요하다..